WriteFileHook.cpp



 - 위 소스는 Kernel32.dll의 WriteFile 함수를 후킹하는 DLL의 소스코드입니다. 32비트의 경우 밑에서 설명할 Redirect 루틴을 탈 경우 0x25FF(Absolute Jump)를 사용하고, 실제 함수 구현체 루틴으로 갈 경우 E9(Relative Jump)를 사용합니다. 64비트의 경우 Redirect 루틴을 탈 경우 KernelBase의 함수를 후킹하며, 실제 함수 구현체 루틴으로 갈 경우엔 해당 함수를 바로 후킹하는데 둘 모두 기존 코드를 점프에 필요한 크기만큼 백업해두고 인라인 후킹을 진행합니다.


 - Windows 7에서부터 Kernel32.dll 외에 KernelBase.dll 이라는 DLL 파일이 생겨 일부 함수들에 대해 구현은 KernelBase.dll에 존재하고 Kernel32.dll 을 통해호출시 KernelBase.dll 의 함수로 리다이렉트시킵니다. 자세한 내용은 여기 참고. Redirect Call 명령은 0x25FF 로 Absolute Jump를 하고 있기 때문에 x86 환경에서는 이를 주소 오퍼랜드만 변경하여 쉽게 후킹이 가능하지만 x64환경에서는 6바이트만으로는 원하는 메모리 주소로의 점프가 불가능합니다. 이를 위해 위 코드에서는 64비트 환경에서 KernelBase.dll 로의 리다이렉트 코드를 발견[각주:1]할 경우 KernelBase.dll 에서 해당 함수의 주소를 가져와 인라인 후킹을 진행하도록 작성하였습니다.


 - 함수를 후킹한 후 내부에서 기존 함수를 실행하여 결과를 그대로 반환하고 싶은 경우에는 인라인 후킹을 진행할 때 NOP 다섯 개와 MOV EDI, EDI; PUSH EBP; MOV EBP, ESP로 총 10바이트의 여유 공간이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후킹 함수로의 점프 5바이트, 후킹 함수 내에서 기존 함수 주소 -5로의 점프[각주:2], 기존 함수 주소 -5에 PUSH EBP; MOV EBP, ESP와 기존 함수 주소 +5로의 점프(EB 05)[각주:3]를 넣어 언훅을 하지 않고도 호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x64에서는 함수 도입부가 정형화되어있지 않은데다 위에서 설명한 KernelBase.dll로의 Redirect Call이 있을 경우 6바이트의 여유밖에 없기 때문에 이것이 불가능하여 위 코드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후킹을 하던 간에 내부에서 언훅 후 기존 함수를 실행하고, 다시 후킹을 건 다음 리턴하도록 작성해 두었습니다.


 - 145번째 줄에서 타겟 함수 주소 - 5를 하는 이유는 여기 참고




  1. 260번째 줄 [본문으로]
  2. 145번째 줄 [본문으로]
  3. 148번째 줄 [본문으로]
블로그 이미지

__미니__

E-mail : skyclad0x7b7@gmail.com 나와 계약해서 슈퍼 하-카가 되어 주지 않을래?

,